재단법인 돌봄과 미래가 기획한 ‘돌봄시리즈’의 책자 제3호 <돌봄과 사회적 경제>가 3월에 출간되었습니다(건강미디어협동조합).
본 책자는 100쪽의 짧은 분량이지만 공동체적 돌봄과 사회적 경제, 관계적 복지와의 관계성에 대하여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이 민간시장에 맡겨진 폐해를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서는 되풀이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그 간명한 해답을 서구의 복지 연역과 다양한 사례와 함께 쉽고 압축적으로 제시합니다.
총 4장으로 1장 돌봄의 미래와 사회적 경제의 역할(장종익 한신대학교 글로벌비지니스학부 교수), 2장 관계적 복지 : 미래의 돌봄과 시회적 경제의 중심 개념(정무권 연세대 미래캠퍼스 글로벌행정학과 명예교수), 3장 공동생산과 사회적 경제(이경미 연세대 글로벌행정학과 연구교수), 4장 돌봄 참여소득과 공동생산(은민수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대우교수) 꾸며져 있습니다.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가 기획한 ‘돌봄시리즈’의 책자 제3호 <돌봄과 사회적 경제>가 3월에 출간되었습니다(건강미디어협동조합).
본 책자는 100쪽의 짧은 분량이지만 공동체적 돌봄과 사회적 경제, 관계적 복지와의 관계성에 대하여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이 민간시장에 맡겨진 폐해를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서는 되풀이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그 간명한 해답을 서구의 복지 연역과 다양한 사례와 함께 쉽고 압축적으로 제시합니다.
총 4장으로 1장 돌봄의 미래와 사회적 경제의 역할(장종익 한신대학교 글로벌비지니스학부 교수), 2장 관계적 복지 : 미래의 돌봄과 시회적 경제의 중심 개념(정무권 연세대 미래캠퍼스 글로벌행정학과 명예교수), 3장 공동생산과 사회적 경제(이경미 연세대 글로벌행정학과 연구교수), 4장 돌봄 참여소득과 공동생산(은민수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대우교수) 꾸며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