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소 | 뉴스레터
 재단소식  |  뉴스레터

돌봄과 미래 뉴스레터 제24호(2024. 12)

2024-12-30

2024년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저물고 있습니다. 한 해를 되돌아보며 2024년 재단의 주요 활동 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국회 토론회

돌봄법 제정이후 22대 국회에서 첫 번째로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의 의미와 22대 국회의 입법 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남인순 의원 · 정춘생 의원 · (재)돌봄과 미래가 공동주최하여 6월 24일(월)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개최하였습니다. 

이 토론회에서 김용익 (재)돌봄과 미래 이사장은  "돌봄법 제정에 따른 상황 변화와 예상 쟁점"에 대하여, 법무법인 태평양 유욱 변호사는  "돌봄법의 법률적 검토"를 발표하고 각계 전문가와 보건복지부의 토론을 통해 2026년 3월에 시행될 돌봄법 준비 방향을 논의하였습니다.

  


2. 돌봄 아카데미 강좌

재단 교육연수위원회는 2024년에 제2기(3.5~4.24)에 이어 3기(9.24~10.29) <돌봄 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성황리에 종료하였습니다.

시의회 의원, 관련 기관 종사자, 공무원, 일반 시민 등 다양한 분들이 참여하여 전문 강사진을 통해 지역사회돌봄의 전문 분야별 영역, 2026년 3월 시행될 「통합돌봄지원법」 등에 대한 이해도를 넓혔습니다.



3. 지역사회돌봄 여론 확산

재단 소통위원회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60년대생 돌봄 인식조사>(6.3), <‘돌봄피크’ 70년대생, ‘돌봄삼중고’에 허리휜다>(11.28) 등의 제목으로 보도자료를 배포, 언론과 각계의 커다란 주목을 받았습니다.

재단은 설문 결과를 통해 현재 돌봄 당사자의 실태와 미래 노인 세대가 처한 상황을 짚어봄으로써 지역사회돌봄이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설계되어야 함을 보여주었습니다.

 


4. 지역사회돌봄 모델 연구

재단은 <화성형 지역사회 통합돌봄사업 개발>, <GH 임대주택 거주자의 환경 특성을 고려한 고독사 예방 및 삶의 질 개선 방안> 연구를 각각 11월, 12월에 완료하였습니다.

재단은 앞으로도 연구 사업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사회돌봄의 모델을 제시하고 지역사회돌봄의 중요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대안 마련에 주력할 예정입니다.


5. 돌봄 도서 출간

올해 2월 김용익 이사장이 언론을 통해 발표한 돌봄 관련 칼럼을 묶어 <김용익의 돌봄 이야기>를 출간했습니다. 17개의 돌봄 관련 이슈를 통해 대안 제시에 주력하면서 전국민돌봄보장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바꾸고 사회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재단과 한국장애인보건의료협의회가 공동 기획한 ‘돌봄시리즈’ 책자 제1호 <장애인 보건의료>를 11월에 출간했습니다. 짧지만 내실 있는 내용으로 연구자, 학생, 일반 시민 등이 쉽게 이해하고 개념을 정리할 수 있도록 꾸몄습니다.


6. 돌봄 북토크 개최

재단 학술위원회는 첫 번째를 시작으로 4차례의 <돌봄 북토크>를 개최하였습니다. 돌봄 관련 책의 저자를 초대하여 생생한 돌봄 체험과 돌봄에 대한 저자의 고민을 듣고 쌍방향 토론을 통해 공감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었습니다.



7. 지역사회돌봄 현장 탐방

재단은 전주시 ‘지역사회돌봄’(5.17), 사회적협동조합 '위스테이지축'(6.18), 케어안심주택 '서봄하우스'(9.11)를 회원님들과 현장 탐방을 세차례 하였습니다.

재단은 현장 탐방을 통하여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주거, 보건의료, 요양 등 독립생활 지원을 통합적으로 연계 · 제공하는 지역사회돌봄의 분야별 실태를 접하고 지역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지역사회돌봄을 위한 대안 마련을 지속적으로 살필 것입니다.


8. 워크숍 개최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재단의 사업 방향과 지역사회돌봄 추진에 대한 구체 논의를 위하여 재단 하계 워크숍이 개최하였습니다.

하계 워크숍(충무로 공간채비, 8월 21일)은 40여 명의 임원과 활동 회원들이 참석하여 재단 활동에 참여 중인 활동 회원들과 소통하고 향후 재단의 활동 방향과 역할을 함께 논의하였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 122-82-13058   대표자 | 김용익   전화 | 02-707-3988   팩스 | 02-6455-3688

E-mail | leemujae2022@gmail.com   주소 | (04195) 서울시 마포구 만리재로 14 한국사회복지회관르네상스타워 2210호  

후원계좌 | 국민은행 827901-04-142414 (재단법인돌봄과미래)

Copyright © Care for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

(04195) 서울시 마포구 만리재로 14

한국사회복지회관르네상스타워 2210호

대표전화 | 02-707-3988   팩스  | 02-6455-3688 

이메일 | leemujae2022@gmail.com

이사장 | 김용익   고유번호증 122-82-13058

Copyright © 2023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 ALL RIGHTS RESERVED